오키나 (글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키나는 하와이어에서 분리, 자르기, 끊기를 의미하는 글자이다. ‘6’을 닮은 모양으로, 여러 폴리네시아 언어에서 사용되며, 성문 파열음을 표기하는 데 쓰인다. 하와이어에서는 공식 표기법으로 사용되며, 사모아어, 타히티어, 통가어, 쿡 제도 마오리어, 왈리스어 등에서도 각기 다른 이름과 형태로 사용된다. 컴퓨터 환경에서 아포스트로피나 작은따옴표로 표현되기도 했으나, 유니코드에서는 U+02BB로 인코딩되어 지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와이어 - 하와이어 문법
하와이어 문법은 VSO형 어순을 따르는 고립어이며, 동사는 굴절되지 않고 불변화사를 사용하여 시제, 상, 법을 나타내고, 전치사로 명사의 격을 나타내는 주격-대격 언어이다. - 폴리네시아어군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폴리네시아어군 - 마오리어
마오리어는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언어로, 뉴질랜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고, 영어의 영향으로 쇠퇴했으나 부흥 운동을 통해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뉴질랜드 문화적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오키나 (글자) | |
---|---|
개요 | |
종류 | 문자 |
문자 체계 | 로마자 |
사용 언어 | 하와이어 타히티어 통가어 기타 폴리네시아어 |
기본 정보 | |
문자 이름 | 오키나 |
유니코드 이름 | Left Single Quotation Mark |
유니코드 | U+02BB |
HTML 엔티티 | ʻ |
용도 | 음성학, 문자학 |
음가 | 성문 파열음 |
대체 표기 | ʻokina (일반적인 표기) 역 따옴표 (약칭) |
상세 정보 | |
모양 | 홑따옴표 (inverted comma) 와 유사 |
기능 | 단어의 시작과 끝, 모음 사이에서 성문 파열음을 나타냄 |
중요성 | 의미를 구별하는 중요한 역할 (예: 'awa (항구) 와 ʻawa (카와라는 식물)') 생략될 경우 의미 혼동 초래 가능 |
사용 언어별 특징 | 하와이어: 반드시 표기해야 함 타히티어: 일반적으로 표기 통가어: 필수로 간주되지는 않음 |
기타 | |
주의사항 | 일반적인 어포스트로피 (') 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
2. 이름
(뒤집힌(liliusmo) 콤마(komasmo))
(fakamonga|파카몽아ton의 경어형)
또는 ʻakairo ʻamata|아카이로 아마타rar
또는 "함자 표시"